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최대 720만 원을 지원하지만, 계약직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수령이 가능합니다. 정규직과 계약직의 지원 조건 차이를 명확히 비교해드립니다.
정규직 vs 계약직,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수령 조건 비교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 고용을 촉진하고,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한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특히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정규직 채용만 가능한지, 계약직도 수령 가능한지 여부입니다. 실제로 계약직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장려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 정규직 채용의 경우
- 수령 가능 여부: 100% 가능
- 장려금 액수: 최대 연 720만 원
- 지급 조건: 6개월 이상 지속 근무 시 분할 지급
- 유리한 점: 빠른 지급, 신청 절차 간단
📋 계약직 채용의 경우
- 수령 가능 여부: 정규직 전환 예정 조건 시 가능
- 조건: 6개월 이내 정규직 전환 확약 필요
- 신청 서류: 전환 계획서 및 전환 일정 명시 필수
- 리스크: 전환되지 않을 경우 장려금 지급 불가
⚠️ 주의할 점
- 계약직으로만 계속 고용된 경우 장려금 수령 불가
- 정규직으로의 전환 시기와 방식을 명확히 기재해야 함
- 기업이 장려금 참여 사업장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신청 가능
📋 정규직 vs 계약직 비교 요약
구분 | 정규직 | 계약직 (정규직 전환 예정) |
---|---|---|
신청 가능 여부 | O | 조건부 O |
장려금 최대액 | 720만 원 | 720만 원 |
근로 조건 | 6개월 이상 근속 | 6개월 이내 전환 후 근속 |
추가 서류 필요 | 없음 | 정규직 전환 계획서 |
리스크 | 없음 | 전환 미실행 시 미지급 |
❓ 자주 묻는 질문 (Q&A)
- Q. 계약직은 무조건 안 되는 건가요?
- A. 아닙니다. 정규직 전환이 전제된 계약직이라면 신청 가능합니다.
- Q. 전환 시기 기준은 언제까지인가요?
- A. 채용일 기준 6개월 이내에 정규직 전환이 이뤄져야 합니다.
- Q. 계약직 채용 후 전환 못 하면 어떻게 되나요?
- A. 해당 청년에 대해선 장려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