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 부모급여를 받고 있어도 중복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 지원금이 있습니다. 지자체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아래에서 소개하는 항목은 대부분의 시·군·구에서 함께 지급이 가능하며, 가정의 실질적 육아부담을 경감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매월 10만 원씩 지급되며, 청년 부모급여와 별도로 수령 가능합니다.
- 지급 기준: 만 8세 미만 아동
- 지원 금액: 월 10만 원
-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부모급여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아동수당은 무조건 지급되니 꼭 함께 신청하세요.
2. 출산축하금 및 출산축하지원금
지자체에 따라 일시금 또는 상품권 형태로 지급되는 출산축하금이 있습니다. 부모급여와 중복 수령 가능하며, 일부 지역은 두 자녀 이상일 경우 금액이 더 커집니다.
- 지급 주체: 시·군·구청
- 지원 형태: 현금, 지역화폐, 기프티콘 등
- 평균 금액: 20만 원 ~ 200만 원
3. 기저귀·분유 바우처 (국민행복카드)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인 경우,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기저귀·분유 구입비용이 지원됩니다.
- 대상: 만 2세 미만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
- 지원 금액: 기저귀 월 6만4천 원 / 분유 월 8만6천 원
4. 출산휴가급여 / 육아휴직급여
부모 중 근로자일 경우, 근로복지공단을 통해 지급되는 출산휴가급여 및 육아휴직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 출산휴가급여: 평균임금의 100% (월 최대 200만 원)
- 육아휴직급여: 첫 3개월은 평균임금의 80%, 이후 50%
5. 전기·가스요금 할인 (복지할인)
영유아 자녀 가정은 전기요금 복지할인을 신청할 수 있으며, 부모급여 수령 여부와 무관하게 중복 신청이 가능합니다.
- 지원 방식: 월 전기요금에서 자동 할인
- 할인 금액: 월 최대 16,000원
Q&A 자주 묻는 질문
Q. 부모급여를 받으면 아동수당 못 받나요?
아니요. 아동수당은 전 국민 대상으로, 부모급여와 관계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Q. 출산축하금은 어디서 신청하나요?
주소지 관할 지자체(구청 또는 시청)에 따라 금액과 지급 방식이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주민센터 또는 복지포털을 통해 신청합니다.
Q. 국민행복카드는 어떤 카드로 신청 가능한가요?
KB국민, 삼성, 롯데, BC 등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기저귀·분유 지원을 위해 별도 등록이 필요합니다.